백준 코딩테스트 연습/실버

[백준] 1449번 수리공 항승 (Kotlin, 코틀린)

KwakEuiJin 2023. 2. 25. 18:09

문제

항승이는 품질이 심각하게 나쁜 수도 파이프 회사의 수리공이다. 항승이는 세준 지하철 공사에서 물이 샌다는 소식을 듣고 수리를 하러 갔다.

파이프에서 물이 새는 곳은 신기하게도 가장 왼쪽에서 정수만큼 떨어진 거리만 물이 샌다.

항승이는 길이가 L인 테이프를 무한개 가지고 있다.

항승이는 테이프를 이용해서 물을 막으려고 한다. 항승이는 항상 물을 막을 때, 적어도 그 위치의 좌우 0.5만큼 간격을 줘야 물이 다시는 안 샌다고 생각한다.

물이 새는 곳의 위치와, 항승이가 가지고 있는 테이프의 길이 L이 주어졌을 때, 항승이가 필요한 테이프의 최소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테이프를 자를 수 없고, 테이프를 겹쳐서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첫째 줄에 물이 새는 곳의 개수 N과 테이프의 길이 L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물이 새는 곳의 위치가 주어진다. N과 L은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물이 새는 곳의 위치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항승이가 필요한 테이프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4 2
1 2 100 101

예제 출력 1 

2

 

 


 

문제 접근

  1. 양 옆의 0.5간격을 막으라는 문제의 전제 조건을 고려하여 테이프의 커버 가능 범위를 구해야한다.
  2. 커버 가능 범위는 예시로 1이 구멍이 났을 때 테이프의 길이가 2라면 (1 - 0.5) + 2가 된다. 
  3. 테이프의 가능 range를 구한 뒤 해당 범위 내에 구멍난 곳이 있으면 정답으로 카운트 하지 않고 넘어간다. 즉 2.5 내인 2에 구멍이 있다면 커버가 가능한 조건으로 둔다.

 

알고리즘

  1. 배열을 입력 받은 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 정렬하지 않을 시 가장 낮은 커버 범위 부터 반복문을 돌리지 못하기에 잘못된 정답을 도출한다.
  2. 문제 접근에 따라 테이프의 커버 가능 범위인 range를 구해준다.
  3. 커버 가능 범위 내라면 count를 더하지 않고 커버 범위 보다 구멍 난 곳이 크다면 count를 더함과 동시에 테이프의 커버 범위를 갱신하다.

 

정답코드

fun main() {
    val input = readln().split(" ").map { it.toInt() }
    val n = input[0]
    val l = input[1]
    val arr = readln().split(" ").map { it.toInt() }.toIntArray()
    arr.sort()
    var count = 0

    var range = arr[0] - 0.5 + l
    count++

    for(i in 1 until n) {
        if(range < arr[i]) {
            range = arr[i] - 0.5 + l
            count++
        }
    }
    println(count)
}

난이도: 중상

 

헷갈렸던 부분: 커버 범위의 +0.5를 해야 맞는 것 아닌지 고민하였지만, 애초에 0.5를 빼고 구하는 범위이기에 해당 조건이 필요없었다.

오랜만에 알고리즘 어려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