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droid13

[Android Kotlin]: Multiple ViewHolder (멀티 뷰홀더) ViewHolder란? 공식문서 상 “ViewHolder는 RecyclerView 내에서의 위치에 대한 항목 보기 및 메타데이터를 설명한다” 라고 정의합니다. 즉 ViewHolder는 각 View의 요소들을 보관하는 holder 객체입니다. ListView나 RecyclerView에서 inflate를 최소화 하기 위해 View를 재사용 할 시 반복적인 findViewById의 호출 없이 재사용 할 수 있도록 ViewHolder를 사용하는 것을 ViewHolder패턴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ViewHolder를 활용한다면 반복되는 View를 재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성능을 높이고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줄여나갈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ListView에서의 ViewHolder ListVie.. 2023. 4. 20.
[Android]: Activity Task 정리 Task 란? Android에서 Task란 사용자의 작업에 대한 Activity의 흐름이라고 정의합니다.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새로운 액티비티 인스턴스가 생성된다면 Activity는 각 화면이 열린 순서대로 Stack의 구조로 쌓이게 됩니다. 이를 나타낸 것이 Activity Task라고 합니다. Activity Task는 자료구조인 Stack과 동일하게 FILO(선입후출) 방식으로 생성되며, 이 스택은 Back Stack이라고도 불립니다. 사용자가 Back 버튼을 누르면 현재 Activity가 스택에서 제거되고 이전 Activity가 다시 보여지게 됩니다. 이것이 일반적인 Task의 작동 방식입니다. 이러한 백 스택의 Activity는 절대로 다시 정렬되지 않기때문에 앱에서 특정 Activity를 다시.. 2023. 4. 6.
[Android]: Activity LifeCycle(Activity 생명주기) Activity란? Activity란 Android 4대 컴포넌트 중 한가지로 앱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진입점 역할을 합니다. Activity는 앱이 UI를 그리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Android 시스템은 main() 메서드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관습과는 다르게(ActivityThread에서 main 실행) 생명 주기에 해당되는 특정 콜백 메서드를 호출하여 코드의 흐름을 이어 나갑니다. Activity LifeCycle란? 사용자가 앱을 탐색하고, 앱에서 나가고, 앱으로 다시 돌아가면, Activity 인스턴스는 생명 주기 내에서 상태값에 대한 변경이 일어나게 됩니다. Activity는 이러한 상태 변화(시스템이 Activity 생성, 중단 또는 다시 시작하거나,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등).. 2023. 4. 2.
[DI] Android Hilt 사용 예제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할 때 종종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이 필요합니다. 의존성 주입은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코드의 유지 보수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높이는 데에 매우 유용합니다. 안드로이드 앱에서 의존성 주입을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는 Hilt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Hilt를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앱에서 의존성 주입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Hilt란? Hilt는 안드로이드 앱에서 Dagger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Dagger는 안드로이드 앱에서 인기 있는 의존성 주입 프레임워크 중 하나이지만, Dagger의 설정 및 구성은 매우 복잡합니다. Hilt는 Dagger의 설정 및 구성을 단순화하여 Dagger를 보.. 2023. 3. 10.